본문 바로가기
일상건강관리

견갑골 통증 팔통증 손저림 3탄! 흉곽출구 증후군이 아닌 경우

by 홈엑서관리자 2023. 10. 25.

안녕하세요! 올바른 치료사~ 올치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견갑골 통증 팔통증 손저림을 유발하는 흉곽출구증후군에 대한 내용을 다뤘는데요. 

2023.10.22 - [일상건강관리] - 견갑골 통증 팔통증 손저림때문에 고생인데 디스크는 아닌경우

 

견갑골 통증 팔통증 손저림때문에 고생인데 디스크는 아닌경우

올바른 치료사 올치입니다. 어느 날 목어깨도 아프고 팔이 저린 느낌인데 병원에서 디스크는 아니라고 합니다. 인터넷을 봐도 주변 얘기를 들어도 증상은 디스크 같은데 아니라고 하니 정말 답

homeexercise.tistory.com

이번엔 저림이나 붓기 손의 차가운 느낌과 같은 신경이나 혈관의 증상은 없지만, 불편한 위치가 흉곽출구증후군과 유사한 근육에 대해 이야기 할께요. 사각근과 소흉근에 대한 이야기인데요. 
흉곽출구증후군은 아니지만 흉곽출구증후군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관련이 아주 많으니 흉곽출구증후군이 있으신 분도 주의 깊게 봐주세요~

먼저 이 두 가지 경우의 차이에 대해 알아볼게요. 

앞서 말한 흉곽출구증후군의 증상을 보면 
- 4.5 번째 손가락(약지와 새끼)과 새끼손가락 방향의 팔뼈 쪽 아래팔의 저림이나 따끔거림. 
- 감각이 민감하거나 둔해지는 신경이랑 관련된 증상
- 손이나 얼굴이 붓기도 함
- 피부가 차갑게 느껴짐

 

이번엔 사각근과 소흉근의 연관통 증상을 보면 
* 사각근의 연관통(그림 참조)
- 어깨의 앞면 부와 위쪽 가슴부터, 승모근 상부와 어깨뼈의 안쪽 면 위쪽에 예리한 통증,
- 위팔 앞뒤와 아래팔이 아림, 1.2 번째 손가락(엄지와 검지) 방향에 시큰거림, 뻐근감 같은 불편함
⇒ 근육의 같은 쪽 방향으로 목을 밴딩 할 때 통증이 커짐
⇒ 위팔의 앞뒤로 아리는 통증으로 인해 당사자는 아픈 부위를 자주 주물러주는 경향


* 소흉근의 연관통(그림 참조)
- 팔의 안쪽 면과 4.5 번째 손가락(약지와 새끼) 방향에 시큰거림,뻐근감 같은 불편함
- 어깨 앞쪽이 쑤시거나 가슴근육 전체적으로 불편


보시다시피 흉곽출구증후군, 사각근과 소흉근 각각 불편감의 느낌과 위치가 조금씩 다른데요. 일차적으로 증상의 위치와 양상을 보고 흉곽 출구 증후군인지 단순 근육의 연관통인지 감별을 합니다. 

그런데 소흉근과 사각근 모두 견갑골 통증 팔통증 손 저림과 유사한 불편감을 만들어 내므로 

목과 어깨 팔과 손가락이 아프다=흉곽출구증후군도 팔과 손가락이 아프다= 목디스크도 팔과 손가락이 아프다
⇒  지금 느껴지는 이 근육의 연관통이 목디스크인가? 흉곽출구증후군인가?

라는 오해가 생기게 되기도 합니다. 

 

물론 이 근육들의 긴장이 심해지면 흉곽출구증후군을 유발하기도 하니 관련이 아예 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반대로 위 근육 연관통 증상이 있다면 미리 관리 해서 흉곽출구증후군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이 두 근육이 굳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먼저 사각근들의 역할은 머리를 밴딩시키거나 갈비뼈를 들어 올려서 호흡을 보조합니다. 
소흉근도 사각근과 마찬가지로 호흡에 관여하는 근육인데요. 머리를 밴딩 자세로 오래 계시는 분이나 호흡 패턴이 깨지셨다면 이 근육이 굳어질 가능성이 커집니다. 따라서 자세를 바르게 하고 정상 호흡을 잡는 게 중요하겠죠?
 그러기 전에 불편한 우리의 견갑골 통증 팔통증 손저림의 증상을 없애는 방법 먼저 볼게요. 

 


견갑골 통증 팔통증 손저림 증상 없애기!


 근육의 연관통이든 그게 심해져서 생긴 흉곽출구증후군이던 치료 방법은 크게 다르지 않은데요. 사각근과 소흉근이 짧아져 있는 경우에는 근육을 살살 풀어주고 늘려줘야 합니다.

사각근 마사지
- 손으로 가볍게 풀어 주시거나 마사지 볼로 가볍게만 이완해 주세요. 


소흉근 마사지

-마사지볼을 이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마사지볼을 소흉근 부위에 대 준 후, 벽을 이용하여 근육을 천천히 이완해 주세요.  

사각근 스트레칭


1. 턱을 가슴 쪽으로 당긴 후 양손으로 스트레칭할 쪽 쇄골을 잡아준다. 
2. 숨을 들이마시고 내쉴 때 머리와 목을 해당 근육의 반대 방향으로 밴딩 후 눈과 머리는 살짝 천장 방향을 봐준다. 
  스트레칭할 사각근 부위가 늘어 나는 느낌이 있는지 확인하면서 합니다. 
3. 늘어나는 느낌과 함께 10여초 정도 유지하고 여러 번 반복해 주세요 . 
4. 마지막 동작 시 약 30도 동안 유지 하세요. 
* 스트레칭 동작 시 턱이 앞쪽으로 너무 들리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소흉근 스트레칭

1. 스트레칭할 소흉근 쪽 팔의 손과 아래팔을 벽이나 문틀을 향해 높게 올려두세요.
2.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면서 앞으로 몸을 내밀어 주세요.
  스트레칭할 가슴근육 부위가 늘어 나는 느낌이 있는지 확인하면서 합니다. 
3. 늘어나는 느낌과 함께 10여초 정도 유지하고 여러 번 반복해 주세요 . 
4. 마지막 동작 시 약 30도 동안 유지 하세요. 
* 스트레칭 동작 시 아래 허리 부분이 뒤틀리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다음 포스팅에는 증상을 없앤 후에 재발하지 않도록 일상에서 찾을 수 있는 예방법에 관해 이야기하도록 할게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