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건강관리

왼쪽 오른쪽 옆구리통증이 있다면 이 근육 보셔야 합니다.

by 홈엑서관리자 2023. 10. 21.

올바른 치료사 올치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보았듯이 여러분의 전거근의 길이에 변화가 있다면 능형근이 있는 등통증이 있을 수 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그런데 만약 전거근 자체에도 증상이 있다면? 
이는 옆구리 통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어느 날 여러분의 왼쪽 혹은 오른쪽옆구리통증이 있다면 반드시 날개뼈의 위치를 확인하시고 전거근의 길이에 변화가 있는지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을 거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은 능형근 길이에 영향을 주거나 여러분의 왼쪽 혹은 오른쪽옆구리통증을 만들었던 전거근에 대해 간단히 살펴볼게요. 

 전거근은 날개뼈(어깨뼈) 위 각에 붙어 있는 부분.
날개뼈 안쪽 면 전체에 붙어 있는 부분
날개뼈 아래 각에 붙어 있는 부분 이렇게 세 가지 갈래로 나뉘어 있는데요. 

그냥 부채꼴 톱니 모양이라고 하면 되는데 왜 꼭 굳이 나누었냐면 
전거근 강화 운동을 할 때 팔의 각도가 바뀌기 때문입니다. 

즉 전거근의 상부는 1번 갈비뼈 방향으로 대각선으로 올라가고
   전거근의 중부는 2.3.4번 갈비뼈 방향으로 수평으로 뻗어 있고
   전거근의 하부는 5~9번째 갈비뼈 방향으로 대각선으로 내려갑니다. 
(전거근의 출발점이 날개뼈 내측 면으로 고정하였을 경우입니다.)

따라서 전거근 운동을 하실 때 하부 근육은 팔을 아래 방향으로 향해서 저항 운동을 해주셔야 하고 중부 근육은 팔을 수평으로 뻗어서 저항 운동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상부 근육은 팔을 위로 향해서 저항 운동을 하시면 됩니다. 
저항운동이라하면 세라밴드를 이용하셔도 되지만 간편하게  공이나 폼롤러를 이용하여 벽을 미는 동작을 하시되

하부,중부,상부근육을 모두 사용하여 운동하시기를 바랍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운동 영상을 첨부해 드릴게요.  


Serratus Anterior Activation: Reach, Round, & Rotate - YouTube

그런데 
내 전거근을 열심히 풀거나 운동을 했는데도 전거근이 자기 위치로 돌아오지 않거나 힘이 돌아오지 않는다?
그러면 한가지 의심해 볼 게 있는데요. 
일단 전거근은 장흉신경이라는 신경의 지배를 받아요
이 장흉신경은 목신경 C5,C6,C7이 나와서 만들어지는 건데
이 목신경들이 눌리거나 장흉신경 자체가 눌리면 이 신경들이 일을 제대로 못 해요
얘네들은 기계장치로 치면 전깃줄 같은 애들인데 전깃줄이 중간에 꼬이거나 눌리면 
기계가 작동을 잘 못하잖아요? 사람 몸에 있는 신경도 똑같습니다... 
목신경을 누르게 만드는 목을 관절을 늘려주는 견인을 하거나 주변 근육을 스트레칭해 주시고
 장흉신경 자체를 누를 수 있는 목갈비근을 풀어주면 눌렸던 신경이 풀리게 되면 그때 전거근이 자기 역할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여기서 목갈비근은 스스로 풀어주셔도 되는데 관절을 늘려주는 견인은 가급적 병원을 가시는게 
좋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