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장에 가지 않아도, 풀업을 하지 않아도
철봉에 '그냥 매달리는 것'만으로도
우리 몸의 중요한 근육들 -특히 광배근과 대흉근-이 좋아집니다.
단순한 동작 하나가 왜 이런 큰 효과를 줄까요?
대흉근, 키우기보다 가장 먼저 풀어야 하는 근육
많은 분들이 가슴근육(대흉근)을 단련하여 키워야 할 근육으로 인지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근육을 키우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일상은 장시간 컴퓨터 앞에 있는 시간이 많고 스마트폰은 늘 손에 쥐고 있으며, 앉아 있는 시간이 많다보니 자연스럽게 구부정한 생활 습관이 한세트가 되어 우리를 지속적으로 괴롭힙니다. 이런 습관은 모두 대흉근을 단축시키고, 결국 어깨가 안으로 말리게 합니다 .
그런데 여기서 이 근육을 더 키운다고요?
이미 긴장된 근육을 더 조이면 통증과 자세 불균형은 더 심해질 수밖에 없어요.
나아가 움직임의 제한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ㅠㅠ
그런데 이런 대흉근을 단순한 동작 하나로 이완시켜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방법은..
바로, 그냥 매달리면 됩니다.
팔을 머리 위로 들어 철봉에 매달리는 순간, 긴장된 가슴 근육이 쭈욱 늘어나고 이완됩니다.
다른 운동기구나 스트레칭 없이도 대흉근을 자연스럽게 스트레칭하는 효과가 생기는 거죠
구부정한 자세때문에 늘어진 광배근 무작정 단련해야 하는 걸까?
해답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잠깐 광배근에 대해 이야기 해볼께요.
광배근은 팔의 안쪽에서 나와 등전체와 허리 엉치까지 이어지는 넓은 근육이예요.
팔을 뒤로 펴거나 몸쪽으로 모을때 쓰이지만, 허리를 펴기도 하는 아주 중요한 근육이죠.
광배근의 등쪽이 약하면 등이 굽고 팔쪽이 단축되면 어깨를 앞으로 말리게 하므로 한부분에 긴장이 몰리지 않도록
잘 관리해 줘야 합니다.
즉, 구부정한 등쪽은 강화 운동을 해야 하지만, 앞쪽으로 말린 어깨쪽은 마사지와 스트레칭을 하여 이완해줘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철봉에 매달리면?
팔이 위로 올라가서 어깨의 굽힘 동작을 만들기 때문에 광배근의 스트레칭을 돕습니다. (수축하면 팔을 뒤로 펴는 동작을 하므로) 어깨쪽 광배근의 이완을 돕는 거죠
하지만 팔을 올려 위쪽으로 당겨진 광배근은 허리척추에 긴장을 가져와 일시적으로 허리를 펴는 자극을 주지만
추후에 단련 운동을 반드시 해줘야 합니다.
이상으로 생활속 건강이야기를 전하는 올치였습니다!
'일상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중쉬어 자세가 힘든 당신, 당장 편해지는 초간단 운동법! (0) | 2025.04.27 |
---|---|
열중쉬어 자세 안되는 당신, 혹시 이것 때문일지도? (0) | 2025.04.20 |
나는 왜 조금만 걸어도 종아리가 당길까? (0) | 2025.02.02 |
육아 후 지친 손목이 전혀 낫지 않을 때 해야 할 필수 3가지! (0) | 2025.01.26 |
목뒤 뻐근할 때 함께 마사지해야 할 곳 3가지 (0) | 2025.01.18 |